후배에게 말하다
토익 점수 없인 대기업에 취직 할 수 없다?
"토익 점수 없이 대기업에 취직을 어떻게 해요-" 한 후배의 이야기를 가만히 듣고 있다가, 한편으로는 수긍을 한편으로는 반감을 가질 수 밖에 없었습니다. 이력서 기재용 어학 점수는 필요하다 우선, 취직을 앞둔 상황 속에서 토익 시험을 준비하고 점수를 높이고자 하는 것에 대해서는 절대적으로 동의하고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왜냐구요? 이런 저런 이유를 떠나 어쩔 수 없는 현실이니까요. (어학 점수 기재란이 아예 없는 지원서라면 모를까) "실제 회화 실력이 아닌, 가식적이라고 느껴지는 그 허황된 점수 하나 때문에 내가 이 고생을 하고 있어야 한다는 말인가요? 차라리 회화를 준비하는게 훨 이득입니다. 그깟 점수 하나가 뭐라고- 토익 준비 꼭 해야 하나요?" "네-" 제가 졸업한 모교를 찾아가 멘토 프로그램에 참..
리뷰가 좋다/영화*뮤지컬*공연
[영화/백야행/무대인사] 치명적인 매력을 가진 그 그리고 그녀
지난 토요일, 어머니, 동생과 함께 모처럼의 데이트를 즐겼습니다. 모처럼의 쉬는 날임에도 일찍 일어나야 한다는 것이 버겁기도 했지만 말이죠. 하하; 다름 아닌, 기아뷰티시네마데이 이벤트에 어머니께서 응모하셨는데 당첨이 되셔서 저를 이끄시더군요. 단순히 백야행을 볼 수 있는 영화 티켓을 주는가 보다- 라고 생각했는데 무대인사를 나온다고 하더군요. 앗- 그럼 손예진 볼 수 있는거야? 꺅- 오히려 고수보다 손예진을 볼 수 있다는 생각에 상당히 설레었습니다. (고수도 멋있지만, 그야말로 여신이라는 손예진을 가까이에서 보고 싶었습니다) 전 책으로도, 일본드라마로도 먼저 접한 바가 없었습니다. 그야말로 줄거리에 대해선 백지 상태인채로 백야행을 봤습니다. 다만,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을 하고 있다기에 단순 추측으로 ..
리뷰가 좋다/영화*뮤지컬*공연
[뮤지컬/금발이 너무해] 미워할래야 미워할 수 없는 그녀-
바로 어제였죠- 27일, 코엑스아티움에서 뮤지컬 '금발이 너무해'를 보고 왔습니다. 금요일 저녁8시- 퇴근 후 저녁을 간단히 때운 후, 서성이며 이것저것 구경을 했습니다. 내심 제시카가 나오는 때에 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었습니다만, 12월 22일과 23일이 되어야 등장하는 제시카! 그렇게 보게 된 '금발이 너무해' 오늘의 캐스트 입니다. 엘우즈 역의 김지우, 에밋 역에 커피프린스로 인기를 크게 얻은 김동욱, 폴렛역의 전수경까지! 제시카가 연기하는 엘우즈 역도 궁금했지만, 풍부한 뮤지컬 무대 경험을 자랑하는 김지우의 폭발적인 가창력 또한 상당히 기대가 되었습니다. 유독 시선을 끄는 수많은 화환- 입장벨이 울리고 곧이어 자리를 찾아 앉았습니다. 리플렛을 보다 보니, 향긋한 향기가 나서 누가 향수를 뿌렸나보..
나를 말하다/일상 속 소소한 이야기
길에서 만난 한 낯선 남자 "2천원만 빌려주세요"
너무나도 착하고 순진한 그는 한 여자 밖에 모르는 지고지순한 멋진 남자입니다. 더불어 힘든 일에 처해 있는 분을 볼 때면 그냥 지나치지 못하고 적은 돈이지만 도움을 주고 싶다는 생각에 솔선수범하는 스타일이죠. 그런 그가 길을 가다 고등학생 내지는 대학생으로 보이는 한 낯선 남자를 만납니다. "저기, 2천원만 빌려주세요." "네? 무슨..." "죄송해요. 제가 지금 현금이 하나도 없어서... 차비가 없어서..." "아, 그러시군요. 어쩌죠? 제가 천원짜리가 하나도 없네요." "아, 천원짜리가 하나도 없으세요? 그럼, 만원만 빌려주세요" "아... " 다소 머뭇거려 졌지만, 망설이다 그에게 만원을 건네 줍니다. "제가 A마트에 근무 중이에요. 제가 꼭 갚을게요. 현금이 없어서 다음주에 월급을 받으니까 그때 ..
지금은 연애중
남자친구와 메신저로 이야기를 나누다 '빵' 터진 웃음
사회생활을 하면서 소소한 사건들로 인해 때로는 힘들고 슬픈 때가 있습니다. 진정한 사회생활은 드러낼 때와 숨길 때를 확실히 하는 것이 비법이라면 비법이 되겠군요. 당장 힘들다고 하여 상대방에게 감정을 드러내거나 크게 감정이입하여 행하는 행동은 되려 큰 화를 불러 올 수 있습니다. 흔히들, '업무 때문에 힘든게 아니라 사람 때문에 힘들다-' 라는 표현을 하는데 그 말이 어떤 의미인지를 사회생활을 하며 체득하게 됩니다. 몸소 경험하면서 말입니다. 누군가가 저에게 "사회생활은 이런거야" 라며 이야기 해줬더라면 조금은 덜 상처받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그럼, 이렇게 사회생활을 하며, 오가는 인간관계 속에 받는 스트레스나 속상함을 마음 속에만 담아두어야 하는걸까요? 아님, 전래동화 "임금님 귀는 당나귀 ..
이모티콘창 닫기
울음
안녕
감사
당황
춤
피폐